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데이터베이스, SQL공부를 위한 기본 지식 알아보기
    SQL 2023. 2. 12. 03:54

    데이터베이스(Database): 간단하게는 '데이터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오라클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조화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조직화된 모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핵심은 데이터가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가공되어서 저장된다는 것이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한국어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SQL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것도 DBMS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러 종류의 DBMS가 있는데 유명한 것으로는 오픈소스인 MySQL, PostgreSQL 등이 있고 상용으로는 Oracle, SQL Server등이 있다. DBMS는 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계층형, 망형, 관계형, 객체지향형, 객체관계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계층형, 망형 DBMS: 계층형은 가장 처음에 나온 개념으로 기본적으로 트리의 형태를 가진다. 그래서 트리의 단점인 리프에서 다른 리프로 가려면 루트까지 올라가야한다는 단점도 공유한다. 이것을 보완한 것이 망형으로 노드들끼리의 연결을 강화한 것이다. 둘 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관계형DBMS(RDBMS): 현재 대부분의 DBMS가 이 형태에 속하며 테이블이라는 최소단위로 구성된다. 우리가 엑셀에서 보는 시트가 테이블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열과 행으로 구성된다. 즉 2차원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표라고 생각하면 된다.

     

    쿼리(query):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게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이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DBMS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한국어로는 구조화된 질의 언어라고도 한다. 특히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말한다. DBMS이 개발 회사마다 차이점이 있어 회사마나 약간씩 다른 특징이 있으나 표준SQL이라는 기준을 형식적으로는 준수하고 있다.

     

    테이블: 행과 열을 가진 구성 단위로 행(row)은 가로줄 열(column)은 세로줄을 뜻한다. 행이 실질적인 데이터이며 열중에서는 기본 키(Primary Key)가 행을 구분하고, 대표하는 역할을 한다.

     

    인덱스: 테이블에 아주 많은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 경우 특정 부분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잘 사용하면 검색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다.

     

    : 가상의 테이블이며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SELECT구문을 사용해 결과를 출력하면 보이는 것이 뷰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안에 도움이 되고 구문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토어드 프로시저: SQL에서 다른 컴퓨터언어처럼 코딩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데이터 변경 구문을 알아보자  (0) 2023.03.12
    (My)SQL SELECT 구문을 알아보자 2  (0) 2023.02.19
    (My)SQL SELECT 구문을 알아보자 1  (1) 2023.02.17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