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수업 정리/컴퓨터구조
-
03.22 수업학교 수업 정리/컴퓨터구조 2023. 3. 23. 23:30
하드웨어의 복잡성 증가, 명령어 한계, 전력 제한으로 더 이상 싱글 코어의 성능을 향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멀티코어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쪽으로 발전 중. 과거에는 cpu가 노스브리지를 거쳐 메모리에 접근했지만 현재는 내장되어 바로 접근 가능. 컴퓨터의 성능은 총 명령어수(NI) * 명령어당 클럭사이클 수(COI) * 클럭 사이클 타임(T)으로 나타낸다. 3가지 변수 모두 작을수록 좋다. 총 명령어수는 프로그램이 작을수록 적고 CISC가 적다. 총 명령어수는 코드의 길이가 아니라 반복문도 고려한 크기여야 한다. 명령어당 클럭사이클수는 IPC가 높을수록 작다. 클럭 사이클 타임은 클럭이 높을수록 좋다. SPEC은 싱글성능만 비교가 가능하다. 멀티 성능은 다른 툴로 해야 한다. 수업은 꽉 채워하시..
-
03.20 수업학교 수업 정리/컴퓨터구조 2023. 3. 21. 23:49
ISA는 명령어들의 집합이다. 아키텍처라는 말이 붙는 이유는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구조가 같기 때문이다. 컴퓨터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마이크로 아키텍처는 명령어에 맞는 설계 방법이며 파이프라이닝, 캐시, 분기예측 등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성능이 좋은 아키텍처를 만든다. ISA의 종류는 2가지가 있다.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는 많은 수의 복잡한 명령어 집합이다. 레지스터뿐만 아니라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도 연산이 가능하다. 가변길이 명령어이며 실행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파이프라이닝에 어려움이 있어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은 적은 수의 간단한 명령어 집합이다. 고정 길이이며 Load-sto..
-
03.15 수업학교 수업 정리/컴퓨터구조 2023. 3. 18. 02:57
교수님의 아이패드 줌 접속 이수로 인해 수업을 30분 늦게 시작해한 게 별로 없음. 문제해결 중 교수님 목소리가 하울링처럼 울려서 옆에 친구랑 10분 정도 웃은 것 같다. 컴퓨터의 state는 cpu와 메모리이다. 정확히는 cpu안의 레지스터임. 이 말이 처음에는 이해가 안 갔는데 컴퓨터란 결국 0과 1로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기계이고 명령어의 실행은 특정 메모리의 상태(0인지 1인지)를 바꾸는 것이기에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명령어는 기계의 state를 바꾸는 역할을 한다. SPEC을 구할 때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정수연산과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실수연산으로 각각 평가한다. 기준이 되는 프로세서를 하나 정한 뒤에 그것보다 실행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여러 프로그램별로 측정한다. 이때 프로그램은 현재 가장 많..
-
03.13 수업학교 수업 정리/컴퓨터구조 2023. 3. 15. 02:28
반도체의 선폭을 얼마나 얇게 하느냐가 공정 기술의 척도이다. 선폭의 가장 작은 단위가 람다이고 이것을 minnimum featureside라고 한다. 실제칩은 3차원이므로 람다가 절반이 되면 4배 이상으로 집적도가 증가하게 된다. 반도체는 전부 NAND게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2 input NAND게이트는 2개의 PMOS와 2개의 NMOS로 구성되므로 트랜지스터 1000개의 반도체는 NAND게이트 250개를 가진다고 근사 시킬 수 있다. 컴퓨터의 Native Language는 명령어 집합이다. 회사마다 제품 라인업마다 명령어 셋이 다르고 다른 명령어 셋은 사용할 수 없다. IA32는 인텔 아키텍처의 명령어이다. 80486에서 처음 파이프라인이 도입. 팬티엄 1에서 슈퍼스칼라 도입, in-order방식. ..